“올해 1인당 소득으로 영국 따라잡는다…대만과 격차는 더 벌어져” / 1인당 국민총소득 3만3745달러…대만 ‘재추월’

  https://www.sedaily.com/NewsView/29W4G3Q4CO

 

 

‘2024 한국경제 대전망’ 통해 분석

올 1인당 소득 韓 4만 6257달러로

英 4만 6066달러보다 191달러 많아

대만은 이미 독일까지 앞질러 격차

“中, 美 경제 추월 불가능할 수도”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 하는 모습. 연합뉴스




올해 우리나라가 1인당 소득 기준으로 영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20년 이탈리아를 추월한 데 이어 영국마저 제치는 셈이다. 다만 대만은 앞서 영국, 프랑스를 넘어선 것에 그치지 않고 독일마저 추월하면서 우리와의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

류덕현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와 이근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등 국내 경제전문가 34명이 공저한 ‘2024 한국경제 대전망’에서 이같은 분석이 제기됐다. 이 교수와 신호철 한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추격지수로 본 세계 경제와 한국경제’에서 올해 4월 발표된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 경제 통계를 기초로 추격지수를 분석했다. 추격지수는 1인당 소득 수준 이외에도 경제 규모를 기초로 전 세계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큰 미국 대비 각 나라의 비중을 파악해 만든 지표다.

저자들은 시장 환율을 기준으로 한국의 1인당 소득은 2022년 3만 2250달러, 2023년 3만 3393달러로 성장했으나 2021년 3만 4998달러보단 낮을 것으로 봤다. 다만 구매력을 고려한 환율(2017년 기준) 기준으로 보면 1인당 소득은 2023년 4만 6257달러, 2024년 4만 7441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봤다. 미국 대비 1인당 소득 비율은 2023년 70.9%로 70%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 사진제공=21세기북스


특히 한국은 1인당 소득 기준으로 2020년 이탈리아를 추월한 데 이어 올해 사상 최초로 영국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2023년 1인당 실질국민소득 기준으로 독일(5만 3947달러), 프랑스(4만 7988달러), 영국(4만 6066달러)인데 한국은 4만 6257달러로 영국보다 191달러 많다.

이 교수는 “영국이 산업혁명의 발상지이자 1961년 영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한국의 8.1배였던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추격 성과”라며 “다만 한국경제가 과거와 같은 빠른 성장이 어렵기 때문에 프랑스 추격은 2027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대만과의 격차는 점차 벌어질 전망이다. 대만은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2022년 1인당 소득이 미국 대비 90.6%를 돌파한 데 이어 2023년 91.6%까지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2002년까지만 해도 대만의 1인당 GDP는 한국보다 12% 많은 수준이었으나 2023년엔 30% 이상으로 벌어진다. 대만은 2009년 일본은 추월한 데 이어 영국과 프랑스마저 제친 뒤 2020년엔 독일까지 추월하면서 한국과의 격차를 키우고 있다.





하나 더 주목할 만한 분석은 중국이 미국을 추격하는 속도가 크게 떨어졌다는 것이다. 미국 대비 중국 경제의 크기는 2021년 76.2%였으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2022년 71.1%로 5%포인트나 급락했다. 이에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는 추세선은 2022년 기점으로 하방 이동하면서 중국이 미국을 추월하는 시점은 10년 이상 늦춰졌다는 분석이다.

미국 대비 중국 경제 규모가 2018~2023년 4.7%포인트 늘어난 것을 추산하면 1년에 0.94%포인트씩 상승했는데 남은 27.9%포인트를 다 따라잡는 데 30년이 걸린다. 10년 추세로 보면 1년에 1.5%포인트로 19년이 소요된다. 당초 중국이 2035년이면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최소 2042년에서 최대 2053년으로 늦춰진 셈이다.



이 교수는 “트럼프 이후 미중 갈등에도 미국을 계속 추격해오던 추세가 2022년 봉쇄 정책 강화와 1년 곤란으로 확 꺾인 점이 특이하다”며 “중국 경제 규모가 미국을 추월하는 시점은 예상보다 더 늦어지거나 영원히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2024 한국경제 대전망’ 저자 중 한 명으로 참여한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중국 GDP는 2030년 미국의 90% 선에 도달한 이후 경제 규모의 격차를 더 줄이기 어려울 수도 있다”면서도 “중국 성장둔화가 중국 경제의 실패를 의미하거나 붕괴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중국 경제도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거대경제 국가들과 유사한 발전 단계로 접어들면서 고도성장 시기를 끝내고 정상화된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설명했다.

※ ‘조지원의 BOK리포트’는 국내외 경제 흐름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한국은행(Bank of Korea)을 중심으로 국내 경제·금융 전반의 소식을 전합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W4G3Q4CO

 

 

 

 

 https://www.hani.co.kr/arti/economy/finance/1130931.html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3745달러로 대만을 다시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에는 3만2000달러대로 추락해 대만에 20년 만에 역전당한 바 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3745달러(원화 기준 4405만1천원)로 1년 전보다 2.6% 증가했다. 2022년(3만2886달러)엔 7.4% 줄어들면서, 대만에도 밀린 바 있으나 지난해 다시 대만을 추월했다. 지난해 대만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3299달러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한 해 동안 국민(기업·정부 포함)이 대내외에서 벌어들인 명목 국민총소득을 인구수로 나눈 것이다. 국제비교를 고려해 미 달러화로 환산해 집계한다.

광고

한은은 명목 국민총소득 자체가 커진 것이 1인당 국민총소득 증가에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달러화 기준 명목 국민총소득은 2022년엔 7.6% 감소했으나 지난해엔 교역 조건 개선 등에 힘입어 2.8% 증가했다. 달러화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연간 원-달러 환율 상승폭(1.1%)이 전년(12.9%)보다 축소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1인당 국민총소득이 증가했으나 실제 국민이 느끼는 체감은 다를 것으로 보인다. 이 통계에는 가계뿐 아니라 기업과 정부도 포함되고, 교역 조건과 환율 등의 영향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민의 실질 구매력 수준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년 대비 1.8% 늘어나는데 그쳤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