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돈’ 아니다?…“금전소득 거의없는 사회 구성원도 삶 만족도 부유국가만큼” / "저소득 사회 삶의 만족도, 부유 국가와 비슷"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4021001039910226003

 

photo세계 각국의 소득 수준(X축) 및 삶의 만족도(Y축) 조사 결과 그래프. 노란색이 이번 연구에서 조사한 세계 19개 지역이며, 진한 파란색은 갤럽 세계여론조사(2022), 옅은 파란색 점은 세계가치관조사(WVS.2022) 결과를 나타낸다. 연합뉴스(PNAS 제공)



물질적인 부가 클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통념과 달리 금전적 소득이 거의 없는 사회의 구성원도 삶의 만족도가 가장 부유한 국가만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행복에 필요한 요소가 돈 외에도 훨씬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자치대 환경과학기술연구소(ICTA-UAB)와 캐나다 맥길대 연구팀은 6일 과학 저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세계 19개 지역 토착민에 대한 조사 결과 금전적 소득이 매우 낮은 사회의 삶의 만족도가 부유한 국가와 비슷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통상 경제적 부와 삶의 만족도는 강한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인식해왔다. 이것은 부유한 사회에서 사람들이 더 행복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됐고, 경제성장이 저소득 국가 사람들의 행복지수를 확실히 높이는 방법으로 제시됐다.

연구팀은 이를 더 명확히 밝혀내기 위해 전 세계 19개 지역 토착민 및 소규모 사회 주민 29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 지역은 아시아의 중국, 네팔, 인도 등과 아프리카의 세네갈, 짐바브웨, 가나 등, 중남미의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과테말라 등 모두 19개국이다. 조사 대상 중 현금 수입이 있는 가구는 64%에 불과했다.

이 결과, 화폐 소득이 매우 낮은 사회의 구성원들도 삶의 만족도가 부유한 국가 사람들과 비슷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규모 사회의 삶의 만족도 평균(0~10점 척도)은 6.8점이었다. 점수가 5.1로 낮은 곳도 있었지만, 4곳은 다른 조사에서 높은 행복도를 보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8점)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논문 교신저자인 바르셀로나 자치대학 빅토리아 레예스-가르시아 교수는 "이 결과는 소득과 삶의 만족도 간 강한 상관관계가 보편적인 게 아니라는 것과 산업화한 경제가 창출하는 부가 인간이 행복한 삶을 누리는 데 근본적으로 필요한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이 결과는 높은 수준의 주관적 행복을 이루기 위해 자원 집약적인 경제 성장이 꼭 필요한 게 아니라는 강력한 증거라며 지속 가능성과 인류 행복에 좋은 소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저개발 지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알 수 없다며 이전 연구에 따르면 가족·사회의 지원과 관계, 영성, 자연과의 연결 등이 행복에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세계 행복 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 등 현재의 대부분 여론조사가 산업화 사회를 대상으로 하며, 일상생활에서 화폐가 최소 역할만 하고 생계를 자연에 의존하는 저개발지역 소규모 사회는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고도 지적했다.

 

 

 

https://www.good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431453

 


세계 각국의 소득 수준(X축) 및 삶의 만족도(Y축) 조사 결과 그래프. 노란색이 이번 연구에서 조사한 세계 19개 지역이며, 진한 파란색은 갤럽 세계여론조사(2022), 옅은 파란색 점은 세계가치관조사(WVS.2022) 결과를 나타낸다. 
물질적인 부가 클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통념과 달리 금전적 소득이 거의 없는 사회의 구성원도 삶의 만족도가 가장 부유한 국가만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행복에 필요한 요소가 돈 외에도 훨씬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자치대 환경과학기술연구소(ICTA-UAB)와 캐나다 맥길대 연구팀은 6일 과학 저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세계 19개 지역 토착민에 대한 조사 결과 금전적 소득이 매우 낮은 사회의 삶의 만족도가 부유한 국가와 비슷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제성장은 저소득 국가 사람들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확실한 방법으로 제시돼 왔다. 수십년간 전 세계에서 실시된 조사에서 고소득 국가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가 저소득 국가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난 것도 이런 전략을 뒷받침한다.

경제적 부와 삶의 만족도 사이의 이런 강한 상관관계는 부유한 사회에서만 사람들이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연구팀은 이를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해 전 세계 19개 지역 토착민 및 소규모 사회 주민 2천9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 지역은 아시아의 중국, 네팔, 인도 등과 아프리카의 세네갈, 짐바브웨, 가나 등, 중남미의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과테말라 등 모두 19개국이다. 조사 대상 중 현금 수입이 있는 가구는 64%에 불과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 등 대부분 여론조사는 산업화 사회를 대상으로 하며, 일상생활에서 화폐가 최소 역할만 하고 생계를 자연에 의존하는 저개발지역 소규모 사회는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조사 결과 화폐 소득이 매우 낮은 사회의 구성원들도 삶의 만족도가 부유한 국가 사람들과 비슷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사회의 삶의 만족도 평균(0~10점 척도)은 6.8점이었다. 점수가 5.1로 낮은 곳도 있었지만, 4곳은 다른 조사에서 높은 행복도를 보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8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논문 교신저자인 바르셀로나 자치대학 빅토리아 레예스-가르시아 교수는 "이 결과는 소득과 삶의 만족도 간 강한 상관관계가 보편적인 게 아니라는 것과 산업화한 경제가 창출하는 부가 인간이 행복한 삶을 누리는 데 근본적으로 필요한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이 결과는 높은 수준의 주관적 행복을 이루기 위해 자원 집약적인 경제 성장이 꼭 필요한 게 아니라는 강력한 증거라며 지속 가능성과 인류 행복에 좋은 소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저개발 지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알 수 없다며 이전 연구에 따르면 가족·사회의 지원과 관계, 영성, 자연과의 연결 등이 행복에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고 덧붙였다.

논문 제1 저자인 캐나다 맥길대 에릭 갤브레이스 박사는 "이 결과는 인간 사회가 높은 수준의 물질적 부가 없어도 구성원에게 매우 만족스러운 삶을 지원할 수 있다는 개념과 일치한다"며 이는 비금전적 요소가 삶의 만족도에 알려진 것보다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연구자료 출처 : PNAS, Eric D. Galbraith et al., 'High life satisfaction reported among small-scale societies with low incomes', https://www.pnas.org/cgi/doi/10.1073/pnas.2311703121

출처 : 데일리굿뉴스(https://www.goodnews1.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