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72세의 몸, 12년 전 65세와 비슷한 수준”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94320?type=journalists

 

아주대 노인보건연구센터 분석

서울 종로구에서 노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서울 종로구에서 노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요즘 70대는 예전과 달리 노인이라는 말이 무색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보건의학적 관점에서도 요즘 70대는 10여 년 전 60대 못지않게 건강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윤환 아주대의료원 노인보건연구센터 교수는 18일 보건복지부가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에서 연 제3차 노인연령 전문가 간담회에서 발제자로 나와 “건강 노화를 고려할 때 현재 70세는 예전 65세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보건의학적 관점에서의 적정 노인연령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노화’(Healthy Aging) 개념을 사용했다.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보내는 기간을 가리키는 ‘건강수명’(Healthy Life Expectancy)과 유사한 개념인데, 여기에 신체 기능 상태를 더 반영했다.

2011년과 2023년의 신체 기능 장애율을 분석한 결과 고령자의 중증 장애 비율은 65∼69세의 경우 4.2%에서 2.4%로, 70∼74세는 4.9%에서 4.4%로 줄었다.

이는 요즘 70대의 기능 상태가 12년 전보다 더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부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는 2023년 70세의 기능 상태가 2011년 65세와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이 교수는 전했다.

기능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건강노화지수는 12년 사이 평균 1점 증가했다. 2011년 당시 65세의 건강노화지수(10.88)와 유사한 연령대는 2023년엔 72세(10.81)였다.

이 교수는 건강 노화 연령의 상향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교수가 제시한 통계에 따르면 노년기에 진입 중인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4년)가 이전 산업화 세대(1945∼1954년생)에 비해 만성질환 유병률이 줄고 의료비 지출도 감소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65세인 노인 연령 조정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건강 수명이 평균 72.5세(2020년)로 나타나고, 노인들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 기준이 71.6세(2023년도 노인 실태 조사)로 조사된 점이 그 이유다.

이날 간담회의 또 다른 발제자인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도 ‘고령층의 건강 개선과 근로 기간 연장을 위한 정책 대응 방향’을 발표하면서 다양한 지표들을 볼 때 고령층의 전반적인 건강 개선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다만 권 연구위원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 수준에 뚜렷한 격차가 존재한다”며 “노인 연령 조정에 있어 고령 집단 내 이질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법정 정년 상향 이전에 재고용 제도를 적극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근로·사업소득을 반영해 국민연금 수급액을 깎는 감액 제도는 “노인 연령 조정 방향과 배치되는 제도로, 폐지 또는 기준 상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Comments